Hive 라이브러리를 쓰면서 하는 고민이 있다. 우선 유지보수 단계에서의 유연성, 서비스 운영이 장기화되면 발생할 수 있는 마이그레이션 관련 이슈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관심사를 세부적으로 나누고 각 관심사별 box를 분리해서 관리하는 게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. 이렇게 할 경우 hive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구조 변경이 일어나도 비교적 간단하게 처리가 가능할 것이다. 또한 특정 자료형이 지나치게 복잡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.하지만 이렇게 사용할 경우 문제점이 하나 생긴다. 방법에 따라 하나 이상의 문제가 발생하는데, 문제의 유형은 3가지로 발생한다. 보일러 플레이트 코드가 발생한다코드 외적인 절차가 발생할 수 있다인지하지 못할 수 있는 동작이 발생한다일단 이 문제의 발단은 ..